본문 바로가기
관심사

지방소멸 위험지수 TOP 3 (인구 감소율, 고령화 속도 분석)

by selfishlucy 2025. 2. 7.

지방소멸 위헙지수 지도
이미지출처 : 행정안전부

 

한국의 지방소멸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.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출생률 저하, 청년 인구 유출, 고령화 심화 로 인해 몇 년 안에 사라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지방소멸 위험지수가 높은 TOP 3 도시를 선정 하고, 각 지역의 인구 감소율, 고령화 속도를 분석하여 지방소멸의 원인과 해결책을 살펴보겠습니다.


1. 지방소멸 위험지수란?

✅ 지방소멸 위험지수 개념

지방소멸 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~39세 가임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값 으로 계산합니다.

지수 1.0 이상 → 해당 지역의 인구 유지 가능
지수 0.5 이하 → 인구 감소 심각, 지방소멸 가능성 높음

🔹 지방소멸 위험지수 공식:
소멸위험지수 = 20~39세 여성 인구 ÷ 65세 이상 인구

TIP: 소멸위험지수가 0.5 미만이면 지방소멸 위험 지역, 0.2 이하이면 사실상 소멸 확정 지역 으로 평가됩니다.


2. 2025년 기준 지방소멸 위험지수 TOP 3 지역

📊 지방소멸 위험지수 TOP 3 (2025년 예상)

순위지역지방소멸 위험지수20~39세 여성 인구65세 이상 인구

1위 경북 군위군 0.14 1,200명 8,500명
2위 전남 고흥군 0.18 2,300명 12,700명
3위 강원 정선군 0.21 3,100명 14,500명

주목할 점
경북 군위군(0.14) – 전국에서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
전남 고흥군(0.18) – 청년 인구 유출 심각, 고령화 전국 최고 수준
강원 정선군(0.21) – 관광지지만 정주 인구 부족으로 소멸 위기


3. 지방소멸 위험 지역별 원인 분석

✅ 1위: 경북 군위군 (소멸위험지수 0.14)

인구 감소율 전국 최상위 – 최근 10년간 인구 30% 이상 감소
청년층 이탈 심각 – 대구·경북권 대도시로 유출
주택·일자리 부족 – 기업 유치 실패, 인프라 미흡

대책: 군위군은 대구 편입 및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개발 등을 통해 인구 유입을 유도하고 있음.

✅ 2위: 전남 고흥군 (소멸위험지수 0.18)

고령화 비율 50% 이상 –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고령화 지역 중 하나
농어촌 경제 악화 – 어업·농업 인력 부족, 청년층 정착 어려움
교통 인프라 부족 – 수도권·광주와 연결성이 낮아 기업 유치 어려움

대책: 정부는 고흥에 스마트 농업단지 조성 및 귀농·귀촌 지원을 강화 중.

✅ 3위: 강원 정선군 (소멸위험지수 0.21)

관광 산업 중심, 거주 인구 적음 – 스키장, 카지노 등 관광객 유입은 많으나 상주 인구 적음
출산율 최저 수준 – 정선군의 합계출산율은 전국 최하위권
대학·산업 부족 – 젊은 층이 머물지 않는 구조

대책: 강원도는 정선에 기업형 전원주택 단지 조성 및 청년 창업 지원을 확대할 계획.


4. 지방소멸이 초래하는 문제점

경제력 감소 – 지역 소득 감소, 세수 축소로 공공서비스 악화
부동산 가치 하락 – 빈집 증가, 지역 내 경제 순환 약화
사회적 불균형 심화 – 수도권 집중, 지방 경제 붕괴

TIP: 현재 한국의 지방소멸 위기는 일본과 유사한 패턴 을 보이며, 일부 지역에서는 행정구역 통합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음.


5. 지방소멸 해결책 – 무엇이 필요할까?

✅ ① 청년 인구 유입 정책 강화

✔ 지방 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확대
✔ 청년 정착 지원금 및 주거 보조금 지급
✔ 원격 근무 인프라 확대, 디지털 노마드 유치

✅ ②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필요

✔ 지방 특성에 맞는 스마트 농업·바이오 산업 육성
✔ 대기업·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적극 추진
✔ 관광·레저산업 강화 및 정주 인구 유입 전략 마련

✅ ③ 행정구역 개편 검토

소멸 위험 지역 통합 행정 운영 (예: 군위군 → 대구 편입)
✔ 지방 거점 도시 중심의 광역 행정 체계 도입

TIP: 단순한 재정 지원이 아니라, 일자리·주거·교통 인프라를 동시에 개선하는 종합 대책 이 필요하다!


📌 결론 – 지방소멸, 현실이 될 것인가?

경북 군위, 전남 고흥, 강원 정선 등은 2025년 기준 지방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
청년층 유출, 고령화 심화, 산업 약화 가 지방소멸의 주요 원인
기업 유치, 청년 지원, 행정구역 개편 등 종합적 대책이 필요
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수적

현재 추세대로라면 10~20년 내 소멸할 지역이 속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지금 당장 실질적인 대책이 실행되어야 할 때입니다!